기능해부학

고관절의 기능해부학 (Functional Anatomy of the Hip Joint)

donguri91 2025. 4. 16. 16:33

안녕하세요. 동그리입니다.

오늘은 고관절의 기능해부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해부학적 구조 (Anatomical Structure)

구성요소 설명

관절 유형 볼-소켓 관절 (Ball-and-socket joint)
관절면 대퇴골두 (Femoral Head)와 비구 (Acetabulum)
움직임 축 3차원 자유도 (굴곡/신전, 외전/내전, 내회전/외회전)
관절낭 두껍고 섬유성, 전방이 후방보다 강함
비구연골 비구에 존재하는 섬유연골로 관절의 안정성과 충격 흡수에 기여


2. 운동학 (Kinematics)

▸ 움직임 범위 (ROM, Range of Motion)

동작 범위 (도)

굴곡 (Flexion) 120~125
신전 (Extension) 10~20
외전 (Abduction) 40~45
내전 (Adduction) 20~30
외회전 (External Rotation) 40~60
내회전 (Internal Rotation) 30~40

 

 

※ 자세, 근긴장도, 관절 유연성 등에 따라 개별 차이 존재


3. 운동역학 (Arthrokinematics)

볼-소켓 관절이므로 Convex-on-concave 규칙 적용
대퇴골두가 움직일 때, 관절면은 움직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활주(glide) 발생


예) 굴곡 시 대퇴골두는 전방 이동 + 후방 활주

Closed-packed position: 완전 신전 + 내회전 + 외전

Loose-packed position: 약간 굴곡 + 약간 외회전 + 약간 외전 (임상에서 통증 조절이나 운동 범위 회복 시 사용)

 


4. 고관절 근육의 기능 분류

운동 방향 주요 작용근

굴곡 (Flexion) 장요근 (Iliopsoas), 대퇴직근 (Rectus femoris), 봉공근 (Sartorius)
신전 (Extension) 대둔근 (Gluteus maximus), 햄스트링 (Hamstrings)
외전 (Abduction) 중둔근 (Gluteus medius), 소둔근 (Gluteus minimus), TFL
내전 (Adduction) 장내전근 (Adductor longus), 단내전근, 대내전근 등
내회전 (Internal Rotation) 중둔근 전방 섬유, 소둔근 전방 섬유, TFL
외회전 (External Rotation) 둔근, 외회전근군 (Piriformis, Obturator externus 등)


5. 폐쇄사슬 vs 개방사슬 운동에서의 작용

체인 구분 설명 예시

개방사슬 운동(OKC) 대퇴골이 움직임의 주체 런지 시 뒷다리 고관절 신전
폐쇄사슬 운동(CKC) 골반이 움직임의 주체 스쿼트 하강 시 골반 굴곡

 

-> 뉴만은 이러한 분류를 통해 운동 기능 손상 평가와 운동치료 설계에 중요한 기준으로 제시

 


6. 기능적 고찰 및 임상 적용

고관절은 자세 제어, 보행, 체중 지지 등 핵심 역할 수행

중둔근 약화 시 Trendelenburg Gait 발생

장요근 단축 시 요추 전만 증가 → 요통 유발 가능성

관절 안정성은 관절면의 정합도, 관절낭 및 인대의 지지, 그리고 근육의 협응적 조절에 의해 유지


주요 참고문헌

Neumann, D. A. (2017).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Rehabilitation. 3rd ed. Elsevier.

Kendall, F. P. et al. (2005).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Levangie, P. K., & Norkin, C. C. (2011). Joint Structure and Func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F.A. Dav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