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만 4

고관절의 기능해부학 (Functional Anatomy of the Hip Joint)

안녕하세요. 동그리입니다.오늘은 고관절의 기능해부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해부학적 구조 (Anatomical Structure)구성요소 설명관절 유형볼-소켓 관절 (Ball-and-socket joint)관절면대퇴골두 (Femoral Head)와 비구 (Acetabulum)움직임 축3차원 자유도 (굴곡/신전, 외전/내전, 내회전/외회전)관절낭두껍고 섬유성, 전방이 후방보다 강함비구연골비구에 존재하는 섬유연골로 관절의 안정성과 충격 흡수에 기여2. 운동학 (Kinematics)▸ 움직임 범위 (ROM, Range of Motion)동작 범위 (도)굴곡 (Flexion)120~125신전 (Extension)10~20외전 (Abduction)40~45내전 (Adduction)20~30외회전 (Ex..

기능해부학 2025.04.16

복장빗장관절(SC Joint)의 특징과 기능

안녕하세요. 동그리입니다.오늘은 어깨와 관련된 관절 중 하나인 복장빗장관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복장빗장관절(Sternoclavicular Joint, SC Joint)이란?복장빗장관절(흉쇄관절, SC Joint)은 흉골(가슴뼈)과 쇄골(빗장뼈), 그리고 1번 갈비뼈 연골의 상부 모서리로 구성된 복잡한 관절입니다. 이 관절은 팔과 몸통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팔의 움직임을 지탱하는 기반 관절로 기능합니다.흉쇄관절은 다른 어깨 관절과 달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지만, 높은 안정성과 광범위한 가동 범위를 동시에 제공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덕분에 어깨와 팔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며, 충격을 흡수하고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복장빗장관절을 구성하는 결합조직흉쇄관절은 다양한 결합..

기능해부학 2025.02.15

경추의 기능해부학: 뉴만의 키네지올로지 기반 정리.

안녕하세요. 동그리입니다.경추(頸椎, cervical spine)는 머리를 지탱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된 중요한 구조입니다. 뉴만의 『키네지올로지(Kinesiology: The Mechanics and Pathomechanics of Human Movement)』를 바탕으로, 경추의 해부학적 구조와 운동역학을 정리해보겠습니다.경추의 해부학적 구조경추는 C1~C7로 구성되며, 기능적으로 상부 경추(C1~C2)와 하부 경추(C3~C7)로 구분됩니다.상부 경추(C1~C2)C1(아틀라스, Atlas) 후두골(두개골)과 직접 연결회전 중심축이 없어 굴곡-신전(flexion-extension)이 주로 발생“고개를 끄덕이는(Yes)” 운동에 관여 C2(축추, Axis) 치돌기(dens, odont..

기능해부학 2025.01.30

무릎의 기능 해부학: 구조와 역할의 이해

안녕하세요. 동그리입니다.무릎 관절은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관절 중 하나로, 다양한 움직임과 체중 부하를 담당합니다. 일상적인 활동부터 운동까지 무릎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와 해부학적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작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뉴만의 키네지올로지를 참고하여 무릎 관절의 기능 해부학을 살펴보겠습니다.무릎 관절의 주요 구조뼈 구조무릎 관절은 대퇴골(허벅지뼈), 경골(정강이뼈), 슬개골(무릎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세 가지 뼈가 서로 연결되어 무릎의 안정성과 운동성을 제공합니다. 인대와 연골십자인대(ACL, PCL):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는 무릎의 전후 안정성을 담당하며, 관절이 지나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합니다. 측부인대(MCL, LCL): 내측과 ..

기능해부학 2025.01.10